생각난 김에 씁니다.
맨땅에 헤딩하는 공부법
뭐 거창한 건 아니지만 나름 검증된 방법이라
책으로 낼려고 원고만 작성해 둔 것에서 요점만 빼왔습니다.
자기만의 공부법이 있는 분들이라면 그냥 그걸로 하시고,
아닌 분들만 참고.
(절대 새로운 방법은 아니고 비슷한 공부법도 있으니 실망하기 없기)
일단 모든 공부의 기본은 엉덩이 입니다.
시간 투자가 절대적이죠.
최대한 순공부시간을 늘리는 게 중요합니다.
1. 교재 찾기
일단 공부하고자 하는 내용을 쉽게 설명하는 자료가 필요합니다.
전체를 간단하게 개괄해 주는 개론서가 좋죠.
서점으로 갑시다.
원하는 분야로 가서 책을 찾아봅니다.
두께 300페이지 미만의 책을 추천합니다.
책이 얇아서 가격도 저렴할 겁니다.
몇 권이나 있을지 모르겠지만, 2~3권 정도 골라봅시다.
저는 두께 순으로 고릅니다.
완전 얇고 간단한 책 1권
200페이지 이내의 중간책 1권
300페이지 정도의 책 1권
(도서관에서 빌리거나 ebook도 상관없습니다)
2. 내용 훑기
책을 빠르게 읽어봅시다.
한 권 보는데 30분이 안 걸릴 속도로
(저 속독 못합니다. 그런 거 필요 없어요)
처음 보는 책을 30분 만에 읽으면 머리에 남는 게 없겠죠.
그냥 눈으로 보세요.
지금은 내용이 중요한 게 아닙니다.
아마 제목 읽고, 중간에 단어 몇 개 정도 읽는 게 다일 겁니다.
그걸 한 3번 정도 반복해 봅시다.
한 번에 3번 하지 마시고, 시간 간격을 두고 하는 걸 추천합니다.
3. 내용 읽기
이번에는 책 한 권을 2시간 이내로 읽는 것을 목표로 읽어봅시다.
300 페이지 짜리면 내용은 250페이지 정도 나올 겁니다.
결국 1분에 1장 정도 읽어야 하죠.
결코 만만한 읽기는 아닙니다.
이 방법은 2번 정도 해보세요.
아마도 단어는 익숙한 상태일 거고
정확한 내용은 기억이 안나도
대충 어떻게 돌아가는지는 감이 잡힐랑 말랑.
4. 교재 찾기
자 다시 책을 찾아봅시다.
이번에는 정식 교재입니다.
처음에 사지 않는 이유는 알 거예요.
뭘 알아야 좋은 걸 구별하죠.
정식 교재는 제법 두꺼워야 합니다.
공부하는 분야에 맞는 두께의 책을 고르면 됩니다.
사전에 검색을 통해서 좋을 책 추천 목록을 만들어가면 좋습니다.
가서 다 확인해 보고 나에게 가독성이 좋은 책 1권을 골라봅시다
(도서관이나 밀리 비추, 꼭 돈 주고 사세요. 중고책도 좋습니다)
5. 내용 훑기와 읽기
위에 했던 빠르게 내용 훑기를 해봅시다.
책이 두꺼워서 간단히 보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전체를 빠르게 보면서 앞서 읽었던 개론서들 단어가 보여야 합니다.
그리고 빠르게 읽기에 도전.
한 번에 다 읽기는 부담되니까. 챕터별로 나눠서 하면 됩니다.
자 여기까지 하는데 1주일입니다.
6. 정독하기
말 그대로 정독입니다.
몇 번 읽을까요?
아마 본인이 알 겁니다.
기억 안 나면 다시 읽는 겁니다. 그게 공부하는 국룰입니다.
처음 1번은 무조건 정독.
노트 필기 같은 거 없이 그냥 눈으로만 읽읍시다.
2번째 읽을 때는 노트, 포스트잇 같은 도구를 사용하면서 부족한 내용을 채웁시다.
3번째 부터는 알아서 하면 됩니다.
한번 보는데 몇주일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7. 문제풀이
공부과목 장르에 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문제를 풀어야 하는 분야라면 문제풀이는 필수~!
위 공부방법은 문과에 어울리는 공부방법이긴 합니다.
암기가 많은 과목에 좋죠.
이과는 조금 달라요.
눈으로 몇 번 훑는 게 그닥 도움 되지 않습니다.
처음부터 정독하고 바로 문제풀이를 하는 게 좋죠.
뭐 사실 적용하는 방법이 있긴 합니다만,
이는 업계 노하우.
나중에 책으로 ~
빠르게 적어서 빠진 내용도 많지만 대충 전체적인 방법론은 다 적었습니다.
열공하시길
근데 전기기사 공부에 도움이 안될 것 같음.